분식회계 (粉飾會計)
분식회계란 기업이 고의로 자산이나 이익 등을 부풀리고 부채를 적게 계상하는 등의 방법으로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실제보다 좋게 보이도록 조작하는 회계 처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주주, 채권자, 투자자 등이 잘못된 판단을 내리도록 유도하여 손해를 끼칠 수 있는 불법 행위입니다.
분식회계의 유형
* 자산 과대 계상:
*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을 실제보다 부풀려 기록하는 경우
* 존재하지 않는 자산을 허위로 계상하는 경우
* 자산의 가치를 실제보다 높게 평가하는 경우
* 부채 과소 계상:
* 실제 존재하는 부채를 장부에 기록하지 않거나 적게 기록하는 경우
* 충당금을 과소하게 계상하는 경우
* 수익 과대 계상:
*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수익을 허위로 계상하는 경우
* 미래의 수익을 당기의 수익으로 미리 인식하는 경우
* 비용 과소 계상:
* 발생한 비용을 장부에 기록하지 않거나 다음 회계 기간으로 넘기는 경우
* 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하여 비용 발생을 회피하는 경우
분식회계의 목적
* 주가 부양: 기업의 실적을 좋게 보이게 하여 주가를 인위적으로 상승시키려는 목적
* 자금 조달: 금융기관으로부터 더 많은 자금을 유리한 조건으로 빌리거나 투자 유치를 용이하게 하려는 목적
* 세금 회피: 이익을 줄여 세금을 적게 납부하려는 목적
* 경영진의 성과 보상: 경영 실적을 부풀려 성과급이나 보너스를 더 많이 받으려는 목적
* 기업 이미지 개선: 기업의 재무 상태를 건실하게 보이도록 하여 대외적인 이미지를 좋게 만들려는 목적
분식회계의 처벌
분식회계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엄격하게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처벌 수위는 분식회계의 규모, 고의성,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요 처벌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형사 처벌: 징역형 또는 벌금형
* 부당이득액이 5억원 이상인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 최근 법 개정으로 분식회계를 통해 얻은 부당이득이 없거나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최대 10억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행정 제재: 과징금 부과, 임원 해임 권고, 감사인 지정, 증권 발행 제한, 거래 정지, 상장 폐지 등
* 민사 책임: 주주나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로부터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할 수 있습니다.
분식회계 사례
*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사건: 수조 원대의 손실을 숨기고 이익을 부풀려 재무제표를 허위로 작성한 사건
* 카카오모빌리티 분식 논란: 가맹 택시 사업과 관련한 회계 처리 방식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지적
* 과거 대우그룹 분식회계 사건: 15조 원이 넘는 부채를 고의로 은폐한 사건
분식회계의 영향
* 투자자 피해: 허위 정보에 기반한 투자로 인해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게 됩니다.
* 시장 신뢰 저하: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려 시장 기능을 약화시킵니다.
* 기업 경쟁력 약화: 부실한 기업이 존속하게 되어 건전한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합니다.
* 국가 경제 악영향: 금융 시스템 불안정 및 대외 신뢰도 하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분식회계는 단순히 기업의 회계 장부를 조작하는 행위를 넘어, 시장 경제 질서를 훼손하고 다수의 이해관계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중대한 범죄 행위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분식회계
반응형
반응형